They are watching the man unloading boxes from the truck
The girl dating with me in the bus is from Canada.
===말이 자동으로 늘어나는 기적, to 부정사 이렇게 써라!! (7문장) https://www.youtube.com/watch?v=jkHi2QxN5zM
1. I came here to ask for help 도움을 청하러 to sign up for the calss
2. the bridge took more than 4 years to build
3. I pulled out an old book to find the best words to tell you
4. the bus is a good place to think and get around to see Seoul 돌아다니다 5. It took me a week to decide what to buy her for her birthday 의무 to부정사 6. I looked down to discover that I had a black sock on one foot and a white on the other.
7. They decided to make hot dogs to sell in their store to make a lot of money to build their dream house in California
===take get have 완벽 정리 https://www.youtube.com/watch?v=P6w_89xQF_I
이 앱은 마우스 드래그나 마우스 우클릭이 방지되어 있는 사이트에서 해당 기능을 가능하게 해주는 앱입니다.
마우스 드래그, 마우스 우클릭이 방지되어 있는 사이트에서 해당 기능을 이용할수 있게 해줍니다. - "Automatic"상태로 하면 항상 동작을 하게 되고, "Manual"상태로 하면 필요한 페이지에서 "Release" 버튼을 눌러주어 해제를 합니다. - 단축키는 기본적으로 "Alt+1"로 지정되어 있고, "Defining shortcut" 버튼을 클릭하여 단축키를 바꿀수 있습니다.
Mysql DB를 다룰 때 초보 수준에서 약간 중급으로 넘어가면서 흔히들 많이 어려워 하는 것이 Join 구문입니다.
먼저, 아래와 같은 테이블 두개가 있다고 합시다.
1 2 3
mysql>select*fromdemo_people;
+————+————–+——+ | name | phone | pid | +————+————–+——+ | Mr Brown | 01225 708225 | 1 | | Miss Smith | 01225 899360 | 2 | | Mr Pullen | 01380 724040 | 3 | +————+————–+——+
1 2 3
mysql>select *from demo_property;
+——+——+———————-+ | pid | spid | selling | +——+——+———————-+ | 1 | 1 | Old House Farm | | 3 | 2 | The Willows | | 3 | 3 | Tall Trees | | 3 | 4 | The Melksham Florist | | 4 | 5 | Dun Roamin | +——+——+———————-+
두 테이블은 pid 칼럼으로 엮여 있습니다.
먼저 두 테이블을 pid가 같은 것을 조건으로 일반적인 Join을 걸면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1 2 3 4 5
mysql>select name,phone,selling from demo_people join demo_property on demo_people.pid=demo_property.pid;
+———–+————–+———————-+ | name | phone | selling | +———–+————–+———————-+ | Mr Brown | 01225 708225 | Old House Farm | | Mr Pullen | 01380 724040 | The Willows | | Mr Pullen | 01380 724040 | Tall Trees | | Mr Pullen | 01380 724040 | The Melksham Florist | +———–+————–+———————-+
pid가 같은 조건이 있는 줄은 두 테이블 모두에서 모조리 나오게 됩니다. 어느테이블이 기준이랄 것이 없이 양쪽에서 줄들이 추가되는 형국이죠. 이 때 서로 같은 것이 존재하지 않는 줄은 아예 출력이 되지 않습니다.
반면, Left 혹은 right join은 기준 테이블, 즉 반드시 출력되는 테이블을 잡아 줍니다. 위의 SQL 구문에서 Left Join을 걸어 보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1 2 3 4 5
mysql>select name,phone,selling from demo_people left join demo_property on demo_people.pid=demo_property.pid;
+————+————–+———————-+ | name | phone | selling | +————+————–+———————-+ | Mr Brown | 01225 708225 | Old House Farm | | Miss Smith | 01225 899360 | NULL | | Mr Pullen | 01380 724040 | The Willows | | Mr Pullen | 01380 724040 | Tall Trees | | Mr Pullen | 01380 724040 | The Melksham Florist | +————+————–+———————-+
이 때 Left Join이기 때문에 왼쪽 테이블이 기준이 됩니다. 따라서, 왼쪽 테이블의 모든 Row가 결과값에 반드시 한줄 이상 나오는 보장을 받게 됩니다. 왼쪽 테이블(demo_people)에 해당하는 오른쪽 테이블의 pid가 여러개일경우 위와 같이 여러줄이 나옵니다.
반면, right join은 left join과 반대로 기준이 오른쪽 테이블입니다. 오른쪽 테이블은 반드시 한줄 이상 나오는 보장을 받게 되는 것이죠. 결과 값을 한번 보시죠.
1 2 3 4 5
mysql>select name,phone,selling from demo_people right join demo_property on demo_people.pid=demo_property.pid;
+———–+————–+———————-+ | name | phone | selling | +———–+————–+———————-+ | Mr Brown | 01225 708225 | Old House Farm | | Mr Pullen | 01380 724040 | The Willows | | Mr Pullen | 01380 724040 | Tall Trees | | Mr Pullen | 01380 724040 | The Melksham Florist | | NULL | NULL | Dun Roamin | +———–+————–+———————-+
왼쪽 테이블(demo_people)에 해당 pid 값이 같은 줄이 없어도, 오른쪽 테이블(demo_property)이 모두 나와야 하기 때문에, null, null 값이 출력되게 된 것입니다.
INNER JOIN은 JOIN과 같고, LEFT OUTER JOIN은 LEFT JOIN과 같고, RIGHT OUTER JOIN은 RIGHT JOIN과 같습니다.
//수정 버튼 클릭시 사용하는 객체 var modifyBusinessOrderObj =JSON.stringify($("#modifyBusinessForm").serializeObject()); $.ajax({..... type :"POST",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charset=UTF-8", dataType :'json', data :{'data': modifyBusinessOrderObj,},........});
이렇게 하면 json 문자열로 form 내부에 있는것들을 쭉 뽑아준다. 당연 input 태그들에는 name 값 지정해줘야함
이렇게하면 컨트롤러로 날아오는데 받을때 !! 우리는 HashMap 을 쓰고있어서 ... request 에 담겨있는 정보를 일단 HashMap 에 때려넣었다고 가정하고 들어가있는 데이터를 뽑아주는 부분임. 앞단은 우리 프레임워크라 소스 공개를 못함. : )
메서드 ======....{ String list ="";for(String key : paramMap.keySet()){if(key.equals("data")){ list = paramMap.get(key);}}//json 문자열 HashMap 에 넣기 위한 것 HashMap<String, String> dataMap =null; ObjectMapper mapper =newObjectMapper();try{ dataMap = mapper.readValue(list,newTypeReference<Map<String, String>>(){});}catch(Exception e){ logger.error(e.getMessage());}
1. 일단 json 문자열 을 String 변수 - list 에 담아둠 2.ObjectMapper 라는 객체를 선언한다. 3.옮겨둘 HashMap 에다가 objectMapper 에 readValue 라는 메서드를 이용하면됨. : ) 끝
대부분 저어어어기 function 에 파라미터로 넘어오는 data 를 이용해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번프로젝트는 vo 말고, HashMap 을 사용하고있는데 ... undefined 체크를 매우 많이 해야함.... 상세페이지 볼떄 vo 를 그냥 다 List 로 던져줘가지고... 체크 방법
var date =modifyChkDate(data[0].startDate);functionmodifyChkDate(date){if(typeof date !='undefined'){var year = date.substring(0,4);var month = date.substring(4,6);var day = date.substring(6,8);}else{return'';}}
요소란 HTML 명령을 말합니다. 시작태그와 끝내기 태그를 가질 수 있으며 컨테이너(시작태그와 더불어 끝내기 태그를 갖는 요소)라면 시작태그와 끝내기 태그 사이에 텍스트나 다른 요소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ITLE></TITLE>이라는 요소는 웹브라우저에게 제작된 웹 문서의 제목을 웹 브라우저가 제목 표시창에 표시하도록하는 명령하는 것입니다. 시작태그와 끝내기 태그 사이에 제목을 써 주기 때문에 컨테이너라고 부릅니다. <IMG> 처럼 시작 태그만 있는 요소도 있습니다.
※ 태그(Tags)
태그는 요소의 일부로서 시작태그와 끝내기 태그 두 종류가 있습니다. 시작태그는 요소를 시작하며 끝내기 태그는 요소를 끝냅니다. 물론 모든 요소들이 끝내기 태그로 끝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TITLE>로 시작한 제목요소는 </TITLE>라는 끝내기 태그를 갖지만 이미지 요소인 <IMG>는 끝내기 태그를 갖지 않습니다.
※ 속성(Attributes)
속성은 요소의 시작 태그내에 사용하는 것으로 명령을 구체화시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텍스트의 폰트 지정을 위해 사용하는 <FONT></FONT> 요소는 SIZE, COLOR, FACE 등의 속성을 갖는데 <FONT SIZE=5>처럼 시작태그 내에 사용되며 속성과 변수 사이에는 = 이 라는 부호를 사용하여 연결합니다. 속성은 보통 변수를 갖지만 NOSHADE등 일부 속성은 변수를 갖지 않습니다.
※ 변수(Arguments)
변수는 속성과 관련된 값을 말합니다. <BR CLEAR="left">에서 " "내에는 right나 all도 사 용될 수 있는데 이들은 속성 CLEAR의 변수이며 속성과 변수는 등호 '='에 의해 구분됩니 다. 변수 중에는 변수를 " " 내에 넣는 것과 넣지 SIZE=5 처럼 넣지 않는 것이 있으므로 속성마다 사용여부를 잘 알아 두어야 합니다.
§객체 이름으로 이미지 객체에 접근하기 document.images(0) 식으로 하위 객체에 접근하는 방법에는 약간의 문제가 있습니다. 엄청 많은 이미지를 가진 문서에서는 document.images(30) 시으로 접근 해야 하므로 일일이 이미지의 번호를 알아내기란 무척 번거롭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번호대신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바로 객체 고유의 이름(태그의 name 속성에 지정된 값)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위와 같은 HTML 문서에서 첫 번째 이미지 객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document.images(0)을 사용해도 되지만 document.tag1을 사용하는 것이 휠씬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
●변수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로 무언가를 담아두는 그릇으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틍는 자동으로 데이터 유형을 판단하기 떄문에 변수 선언이 다른 언어보다 간단하며 일반적인 경우 특별히 변수임을 선언할 필요도 없습니다. 즉, 변수를 선언하지 않고 필요한 곳에서 사용하면 되는데 다만, 변수를 선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var 키워드를 사용하면 됩니다.
ex) Var 변수 이름 또는 var 변수 이름1, 변수 이름2, ...
그리고 변수를 선언하면서 "="을 사용하여 값을 할당할 수도 있습니다. ex) Var 변수 이름 = 값
"태그매니아"를 브라우저에 출력하는 스크립트로 만들려면 다음과 같이 변수를 사용해서 작성할수도 있습니다.
<SCRIPT LANGUAGE="JAVASCRIPT"> <!-- var greet="태그매니아"; document.write(greet); // --> </SCRIPT>
물론 위의 예제에서 특별히 변수를 사용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변수에는 고정된 값만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서 프로그래밍에 따라 다양한 값이 저장될 수 있고, 긴 문자열을 변수에 담아 두고 여러 번 사용해야 할 경우 지정된 변수를 불러오는 것이 스크립트를 보다 간편하게 줄일 수 있습니다.
1] 세미콜론(;)생략하기 세미콜론(;)은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문장을 구분하기 위해 문장의 끝에 사용합니다. 한행에 한 문장만 입력할 경우에는 생략해도 되지만 한 행에 두개 이상의 문장이 오는 경우 ;을 생략하면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여러 문장일 경우에도 행을 바꾸면 세미콜론을 생략해도 됩니다.
var greet="태그매니아" document.write(greet) (X) var greet="태그매니아" document.write(greet) (O)
2] 변수 이름 짓기 변수 이름을 짓는 데 사용되는 규칙은 함수, 인수, 객체, 속성, 메소드의 이름을 지정하는 데도 적용됩니다. ①변수 이름은 항상 알파벳 문자나 "_"로 시작해야 합니다. 숫자나 특수문자로 시작하는 이름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②한글이름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③대, 소문자를 구별합니다. 즉 greet, Greet, GREET는 전혀 다릅니다. ④스페이스나 콤마, 물음표, 인용부호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⑤자바스크립트에 예약된 단어는 사용할수 없습니다.
초기의 웹문서들은 상당히 정적이었습니다. 일방적으로 자료를 보여주기만 할 뿐 방문자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루트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없었습니다. 이런 정적인 웹에 활기를 불어넣고자 시도된 기술 중의 하나가 바로 자바스크립트입니다.
2) 자바스크립트와 자바 이해하기
자바스크립트에 '자바'란 단어가 사용된 관계로 자바스크립트와 자바를 동일시하는 분들이 많은데 자바스크립트는 자바와는 전혀 별개의 언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바는 선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한 컴퍼일이 되는 C나 C++ 과 차원을 같이 하는 완전한 프로그래밍 언어이지만 자바스크립트는 HTML 문서에 소스가 삽입된 형태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 내에서만 돌아가는 스크립트 언어에 불과합니다. 자바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하나의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 브라우저와 상관없이 실행되기도 하고 웹에서는 자바 애플릿이라는 이름으로 OBJET나 APPLET 태그를 사용하여 HTML 문서 내에 삽입되기도 합니다.
3) 자바스크립트 HTML문서에 삽입하기
자바스크립트는 일반적으로 HTML 문서 내에 소스 코드를 삽입시켜서 사용합니다. 이때 <SCRIPT> </SCRIPT> 태그를 사용하는데, 주로 <HEAD> </HEAD> 사이에 삽입하지만 HEAD나 BODY 어느 곳에도 위치할 수 있습니다.
★TIP) 자바스크립트는 커피향이 나는 로고로 유명한 선마이크로시스템즈 (SUN Micro Systems)와 넷스케이프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언어이빈다. 초기의 자바스크립트는 Live Script라는 이름으로 불렸지만 자바 붐에 편승해 자바스크립트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답니다.